장애등급을 처음 접하면 "대체 기준이 뭐지?", "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지?" 이런 궁금증이 많을 거예요.
저도 처음에는 정말 막막했어요. 어디에 문의해야 할지, 서류는 무엇이 필요한지, 심사 기준은 또 어떤지...
그래서 오늘은!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2025년 4월 27일 기준으로 최신화된 장애등급 판정기준을 정리해봤습니다.
혹시 주변에 필요한 분이 있다면 공유도 꼭 해주세요. 🙌
장애등급 판정기준이란?
장애등급 판정기준은 장애인의 장애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해 등급을 나누는 규정입니다.
2019년 7월부터 기존 1~6급 구분이 폐지되고, '중증'과 '경증'으로 단순화되었어요.
그래도 여전히 장애인 등록, 복지서비스 이용, 각종 지원 신청을 위해 정확한 장애 판정이 필요합니다.
* 장애정도 구분: 중증 장애인 / 경증 장애인
장애등급 판정 절차
장애등급을 받기 위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할까요? 간단히 정리하면 이렇습니다.
단계 | 설명 |
---|---|
1. 진단서 발급 | 전문의에게 장애진단서 발급 받기 |
2. 읍①면①동 주민센터 신청 | 진단서와 구비서류 지참 후 신청 |
3. 국민연금공단 심사 | 장애심사 전문기관에서 판정 |
4. 결과 통지 | 최종 판정 결과 통보 |
장애정도 구분 기준
중증, 경증 구분은 어떻게 할까요?
대표적인 구분 기준을 정리해봤어요.
중증 장애인 기준 (아래 중 하나 해당)
- 지체장애, 뇌병변장애, 시각장애 등 심한 기능 제한
-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경우
- 지속적인 의료적 지원이 필요한 경우
경증 장애인 기준
- 일상생활은 가능하지만 일부 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
- 사회활동, 직업 활동이 가능한 경우
장애 유형별 판정기준 요약
장애 유형에 따라 판정기준도 조금씩 다릅니다.
장애 유형 | 주요 판정 기준 |
---|---|
지체 장애 | 관절 가동 범위 제한, 근력 저하 정도 등 |
뇌병변 장애 | 운동기능 손상 정도 |
시각 장애 | 시력 손실 정도, 시야 협착 등 |
청각 장애 | 청력 손실 정도 |
언어 장애 | 발음, 의사소통 능력 저하 정도 |
정신 장애 | 일상생활 독립성, 정신 기능 제한 정도 |
신장, 심장 등 내부장기 장애 | 장기 기능 저하 수치 |
장애등급 관련 추천 콘텐츠
혹시 장애인 등록 이후 받을 수 있는 혜택도 궁금하지 않으세요?
또, 빠르고 정확한 심사를 원하신다면 전문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.
* 예: 복지센터 무료 상담 프로그램, 장애인 종합지원센터 이용 등
마무리: 장애등급 판정, 어렵지 않아요!
오늘은 장애등급 판정기준에 대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내용을 정리해봤어요.
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, 하나씩 준비하다 보면 생각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.
혹시 궁금한 점이나 경험담이 있다면 댓글로 자유롭게 남겨주세요!